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

무릎 인공관절 수술 TKR(Total Knee Replacement) 수술비용 및 회복기간 의학용어까지

by 쫑이스토리 2025. 3. 10.
반응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 개요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KR, Total Knee Replacement)**

무릎 관절이 심하게 손상된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된 관절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 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이 수술은 무릎의 통증을 완화하고 운동 기능을 회복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적응증

퇴행성 관절염(Osteoarthritis, OA): 연골이 닳아 통증과 기능 장애가 심한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만성 염증으로 인해 무릎 관절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외상성 관절염(Traumatic Arthritis): 사고나 외상으로 인해 관절이 변형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무혈성 괴사(Avascular Necrosis, AVN):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무릎 관절이 괴사 된 경우
관절 변형(심한 O자형 또는 X자형 다리 변형)

☞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보존적 치료(약물, 물리치료, 주사 치료)로도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지속될 때 수술이 필요합니다.


2.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수술 과정

🔹 수술 전 준비

  •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확인(혈액 검사, 심전도, 방사선 검사 등)
  •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 수술 부위 마킹 및 무균 환경 조성

🔹 수술 절차

1️⃣ 마취: 전신 마취 또는 척추 마취(하반신 마취)
2️⃣ 절개 및 관절 노출: 무릎 앞쪽을 절개하여 손상된 관절 구조 확인
3️⃣ 손상된 연골 및 뼈 제거: 대퇴골(허벅지뼈)과 경골(정강이뼈)의 손상된 부위를 정리
4️⃣ 인공 관절 삽입

  • 대퇴골 컴포넌트(금속)
  • 경골 컴포넌트(금속 또는 플라스틱)
  • 슬개골(무릎뼈) 치환 여부 결정

5️⃣ 정렬 및 고정: 관절의 정렬을 맞추고 인공 관절을 특수 시멘트(또는 무시멘트 방식)로 고정
6️⃣ 봉합 및 마무리: 수술 부위를 봉합하고 드레싱

 

🔸 수술 시간:1~2시간
🔸 입원 기간: 평균 1~2주


3. 인공 관절 종류 및 선택

고정 방식에 따른 분류

  1. 시멘트형(Cemented) → 특수 골시멘트로 인공 관절을 뼈에 부착 (고령 환자에 적합)
  2. 무시멘트형(Uncemented) → 인공 관절 표면과 뼈가 자연적으로 유착되도록 유도 (젊은 환자에 적합)
  3. 하이브리드형 → 대퇴골에는 무시멘트, 경골에는 시멘트를 적용하는 방식

움직임 방식에 따른 분류

  • 고정형(Fixed-bearing):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안정성이 높음
  • 회전형(Mobile-bearing): 움직임이 자유로워 무릎의 자연스러운 회전 기능을 지원

☞ 환자의 나이, 활동 수준, 뼈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인공 관절을 선택합니다.


4. 수술 후 회복 기간 및 과정

🔹 입원 중 재활 치료

  • 수술 후 1일째: 보조기를 이용하여 다리를 움직이기 시작
  • 수술 후 2~3일째: 보행기(Walker)를 이용해 서서 걷기 시작
  • 수술 후 1주일~2주일: 계단 오르기, 무릎 굽히기 연습 진행

🔹 퇴원 후 재활 및 관리

1. 초기(0~6주)

  • 목발 또는 보행기를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걷기
  • 무릎을 90도 이상 굽힐 수 있도록 점진적인 운동

2. 중기(6주~3개월)

  • 보조기 없이 보행 가능
  • 계단 오르기 및 실외 보행 가능
  • 근력 강화 운동(저강도 스쿼트, 실내 자전거)

3. 장기(3~6개월 이후)

  • 정상적인 생활 가능
  • 무릎 가동 범위 110~120도 이상 확보 가능
  • 가벼운 조깅, 수영 등 가능(고강도 운동은 피해야 함)

5. 장점과 단점

장점

통증 완화: 지속적인 무릎 통증이 크게 감소
운동 기능 향상: 보행, 계단 오르기 등 일상생활 가능
삶의 질 개선: 독립적인 활동 가능

단점 및 합병증

감염: 수술 부위 감염 시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음
혈전(Deep Vein Thrombosis, DVT): 다리 혈관 내 혈전 발생 가능
신경 손상: 매우 드물지만 신경 손상으로 감각 저하 발생 가능
인공 관절 마모: 15~20년 후 마모로 인해 재수술(TKR Revision)이 필요할 수 있음


6. 수술 후 주의사항

체중 관리: 체중 증가 시 인공 관절의 수명 단축 가능
낙상 예방: 미끄러운 바닥, 낮은 의자 사용 주의
금연 및 건강한 식습관 유지
정기 검진(1년마다 X-ray 검사)
과격한 운동 피하기: 달리기, 점프, 축구 등 무릎에 무리가 가는 운동은 피하고, 수영, 자전거, 가벼운 걷기 등을 추천


7. 수술 후 기대할 수 있는 효과

🔹 통증이 80~90% 감소
🔹 무릎 가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110도 이상 확보 가능
🔹 정상적인 보행 가능
🔹 대부분의 일상생활 수행 가능(단, 과격한 스포츠는 제한됨)


8.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용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의 비용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기관의 종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전문병원 등 의료기관의 유형에 따라 비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술 범위: 한쪽 무릎만 수술하는 경우와 양쪽 무릎을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추가 치료 필요성: 환자의 개별적인 건강 상태나 동반 질환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평균적인 수술 비용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 양쪽 무릎 관절 치환술: 평균 약 10,880,000원, 최소 7,560,000원에서 최대 12,470,000원까지 다양합니다.
  • 재수술의 경우: 평균 약 10,010,000원, 최소 7,290,000원에서 최대 14,870,000원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적용 여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공관절치환술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며, 이에 따라 환자는 전체 수술비용의 약 20%를 부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수술비가 10,000,000원인 경우, 환자는 약 2,000,000원을 부담하게 됩니다.

 

경제적 지원 제도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 60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등을 대상으로 검사비, 진료비, 수술비 등을 본인부담금 범위에서 한쪽 무릎 기준으로 최대 12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해당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소에 신청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상급병실 이용료, 선택진료비 등 건강보험 비급여 항목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수술 전 의료기관과 상세한 상담을 통해 정확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별로 수술비용과 지원제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수술을 고려하신다면 여러 기관의 정보를 비교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이 필요한 경우

👉 보존적 치료(약물, 주사, 재활 등)에도 불구하고 무릎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 무릎 변형이 심해 보행이 어려운 경우(O자형 다리, X자형 다리 등)
👉 밤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있어 수면에 방해가 되는 경우

💡 위의 증상이 있다면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 후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