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의학78

도수근력검사 MMT란? 등급 표 및 근육별 검사 방법 도수근력검사(Muscle Manual Testing, MMT)는 근육의 힘과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재활의학과, 물리치료, 정형외과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이 검사는 검사자가 환자의 근육에 저항을 주고, 그 저항에 대해 얼마나 힘을 낼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1. 도수근력검사의 목적근육의 기능적 강도를 파악신경근육계의 문제 유무를 확인치료 전후의 근력 변화를 측정손상 부위의 재활 경과를 추적2. 검사 방법근육의 움직임 방향을 확인(예: 팔을 굽히는 근육인지, 펴는 근육인지 등)환자 자세 설정검사하려는 근육이 가장 잘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세를 잡습니다.저항 주기검사자가 해당 근육이 수축할 때 손이나 팔로 저항을 줍니다.근육 수축 평가환자가 저항에 대해 얼마나 잘 대응하는지를 평가합니다.✅ 도수.. 2025. 5. 28.
장애등급 판정기준 및 신청절차 / 장애등급별 혜택 총정리 오늘은 저희 대한민국의 장애등급, 혜택, 판정기준, 그리고 신청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2019년부터 장애등급제가 단계적으로 폐지되어,현재는 기존의 1~6급 등급 대신, 장애정도(심한 장애/심하지 않은 장애)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제도나 혜택에서는 여전히 예전 등급 기준을 참고하기도 합니다.1. 장애등급(장애정도) 구분● 현재 기준 (2019년 7월 이후)심한 장애: 기존 1~3급 해당자심하지 않은 장애: 기존 4~6급 해당자● 폐지 전 장애등급 기준(참고용)등급설명1급일상생활 전반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는 생존이 어려움2급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도움이 필요3급일상생활에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4급경미한 활동에 제한이 있음5급일정 부분 노동 가능6급경미한 장애, 기본적인 생활은 .. 2025. 5. 28.
일상생활수행능력(ADL) 평가 MBI 검사 및 점수 / 검사지 첨부까지 MBI(Modified Barthel Index, 수정된 바델 지수)는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특히 뇌졸중, 치매, 노인성 질환, 중증 장애 환자 등의 자립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1. MBI(Modified Barthel Index)란?원본: 1965년 Barthel Index → 실용성 향상 위해 ‘Modified Barthel Index’로 개정목적: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립도 평가총점: 100점사용 분야:재활의학과요양병원/요양원장기요양 등급 심사보험회사 장애평가장애인 자립 지원 프로그램 등2. 평가 항목 및 배점항복세부 설명점수1. 식사스스로 식사 가능 여부0~10점2. 목욕하기전신.. 2025. 5. 28.
간이정신상태검사 K-MMSE 검사란? 점수 해석 및 방법 / 검사지 첨부까지 K-MMS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는 인지기능의 이상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지 기능 선별 검사 도구입니다. 치매나 경도 인지장애(MCI) 진단 시 1차 검사로 흔히 사용됩니다. 아래에 K-MMSE에 대해 구성, 해석, 특징 등을 상세히 설명드릴게요.1. K-MMSE란?간이정신상태검사(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는 인지기능 이상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특히 치매, 경도인지장애(MCI), 뇌졸중 후 인지장애 등을 확인하는 데 널리 쓰이며, 노인건강검진이나 장기요양 등급 판정, 장애 정도 평가에도 활용됩니다.K-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한국어판으로, .. 2025. 5. 28.
반창고부착술 T6161 T6162 T6163 적용대상 및 실시방법 총정리 "T6161 T6162 T6163같은 코드 반창고부착술"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사용하는 처치 및 수술 행위 코드 중 하나입니다.이 코드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반창고를 이용한 상처 보호 처치를 시행하고 진료비를 청구할 때 사용됩니다.오늘은 쫑이가 반창고부착술에 대한 내용을 행위 정의, 적용 기준, 관련 규정, 예시를 포함하여 자세히 설명드릴게요.1. 반창고부착술이란? 행위 코드: T6161~T6163명칭: 반창고부착술분류: 처치료 (taping, Dressings, 일반처치)정의:의료인이 상처 부위나 기타 필요한 부위에 **의료용 반창고(드레싱 포함)**를 사용하여감염 예방, 지혈, 상처 보호 등의 목적을 가지고 실시하는 간단한 처치 행위입니다.2. 주요 적용 대상T6161~3 코드는 다음과 같은 경우.. 2025. 5. 16.
단순운동치료 MM101 세부 내용 / 요부질환에 인정기준까지 총정리 "단순운동치료 MM101"은 보건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행위분류 코드로, 건강보험 급여 청구나 진료 기록 작성 시 활용됩니다. MM101은 물리치료 행위 중 하나인 단순운동치료(Simple Exercise Therapy)를 지칭하는 코드입니다.다음은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1. 단순운동치료 MM101이란?정의: 단순한 형태의 운동을 통해 근육의 강화, 관절 가동 범위 증진, 일상생활 동작 향상 등을 목표로 하는 치료입니다.분류: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항목 중 하나.코드: MM101주로 적용되는 경우:근골격계 질환(예: 요통, 관절염, 오십견 등)수술 후 재활뇌졸중 후 경증의 운동장애자세 교정 등2. 세부 항목 내용 항목내용분류물리치료료 (재활 치료 항목)코드MM101보험.. 2025.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