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동통유발점 주사 자극 치료 (Trigger Point Injection, TPI)란?
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은
근육과 근막(fascia)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통증 증후군으로, **근막동통유발점(Trigger Point)**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치료가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TPI, Trigger Point Injection)**입니다.
1. 근막동통유발점(Trigger Point)이란?
- 근육 내 특정 부위가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손상되어 작은 결절(뭉침)이 형성된 부분
- 해당 부위를 압박하면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주변 부위까지 통증이 퍼질 수 있음(연관통, Referred Pain)
-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근육 기능이 저하되고, 움직임이 제한됨
2.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치료(TPI) 원리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유발점(Trigger Point)에 직접 자극을 주거나,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입니다.
- 바늘 자극 효과: 단순한 바늘 삽입만으로도 과도한 근육 긴장을 완화하고, 국소 혈류를 증가시켜 치유 촉진
- 약물 효과: 국소 마취제, 스테로이드, 생리식염수 등을 주입하여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완화
3. 치료 과정
1. 유발점 진단: 의사가 촉진을 통해 압통점(Trigger Point)을 확인
2. 소독 및 마취: 피부 소독 후 필요시 국소 마취 진행
3. 바늘 삽입 및 자극:
- 건식 바늘(Dry Needling): 약물 없이 바늘만으로 유발점을 자극
- 습식 주사(Wet Injection): 국소 마취제(리도카인), 생리식염수, 스테로이드 등을 주입
4. 바늘 제거 후 마사지: 치료 후 주사 부위를 마사지하여 약물이 잘 퍼지도록 유도
4. 사용되는 약물 종류
약물 종류 | 효과 |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 통증 완화, 신경 흥분 억제 |
생리식염수 | 근막 유연성 증가, 혈류 개선 |
스테로이드 | 염증 억제 (단, 장기 사용 시 부작용 가능) |
보툴리눔 톡신 (보톡스) | 근육 이완 효과 (특정 경우에 사용) |
5. 치료 효과 및 장점
✅ 즉각적인 통증 완화 (국소 마취제 효과)
✅ 근육 이완 및 혈류 개선
✅ 움직임 제한 완화 (가동 범위 증가)
✅ 반복 시 장기적인 효과
⚠️ 단, 유발점 주사는 만성 통증을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이 아니라, 물리치료, 스트레칭, 운동 요법과 병행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6. 주의사항 및 부작용
- 주사 후 일시적인 통증, 멍, 근육 경직이 발생할 수 있음
- 스테로이드 사용 시 반복 주사는 제한적 (관절 및 근육 손상 위험)
- 바늘 공포증이 있는 경우 다른 치료법 고려 가능 (예: 체외충격파 치료, 도수치료)
- 심각한 기저질환(출혈 질환, 감염 등)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사와 상담 필요
7. 근막동통유발점 주사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경우
✔️ 근육이 만성적으로 뭉치고 통증이 지속될 때
✔️ 다른 물리치료(마사지, 온찜질 등)로 호전되지 않을 때
✔️ 목, 어깨, 허리, 팔, 다리 등 특정 부위에서 압통점이 존재하고, 연관통이 나타날 때
8.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와 유사한 치료법 비교
치료법 | 원리 | 장점 | 단점 |
근막동통유발점 주사 (TPI) | 주사 바늘로 유발점 자극 | 빠른 통증 완화 | 침습적 치료 (바늘 사용) |
체외충격파 치료 (ESWT) | 고강도 충격파로 유발점 치료 | 비침습적, 재생 효과 | 반복 치료 필요 |
건침 치료 (Dry Needling) | 바늘만 삽입하여 유발점 자극 | 약물 없이 효과 가능 | 일시적인 근육 경직 가능 |
도수치료 | 손을 이용해 근육 이완 | 자연치료 방식 | 효과가 느릴 수 있음 |
9. 결론
근막동통유발점 주사(TPI)는 만성 근육통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치료법으로,
근막동통증후군, 목·어깨 결림, 허리 통증 등 다양한 근골격계 통증 치료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가 크므로, 운동, 스트레칭, 자세 교정 등의 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1일당) 급여기준
▶ TPI(1일당) 요양급여 인정 기준
(1) 적응증: 근막동통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2) 산정 횟수: 통상 3일 간격으로 7회 정도 산정하며,
7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에는 진료의사의 소견서를 첨부하여 실시 횟수대로 산정하되, 15회를 초과하여 산정할 순 없습니다.
(3) 사용약제
- 국소마취제나 생리식염수는 동 행위의 소정점수에 포함되어 별도 산정하지 아니함.
-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약제 및 치료재료의 비용에 대한 결정기준)에 의하여 별도 산정함.
▶ 다른 물리치료와 병행 실시하는 경우 TPI(1일당) 수가 산정방법
표층열치료와 단순운동치료는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자극치료시 시행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별도 산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동통제거의 상승효과를 위하여 경피적 전기신경자극치료(또는 간섭파전류치료), 심층열치료(1일당)를 병행하는 경우
입원 진료시에는 소정점수를 각각 산정하며,
외래 진료 시에는 동일 목적으로 실시된 중복진료로 보아 병행 실시된 물리치료는 전액을 환자가 부담하여야 합니다.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급여 및 선별급여란? 비교설명 차이 및 적용여부 (2) | 2025.03.06 |
---|---|
부신피질호르몬제 효능 및 역할, 종류, 부작용 총정리 (0) | 2025.03.06 |
MRI CT X-ray 차이 및 주요 용도, 장단점까지 총정리 (0) | 2025.03.05 |
무릎 연골주사 효과 및 가격, 부작용까지 총정리 (1) | 2025.03.05 |
도수치료란? 도수치료 효과 및 비용 실비보험 횟수 등 총정리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