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

비급여 및 선별급여란? 비교설명 차이 및 적용여부

by 쫑이스토리 2025. 3. 6.

비급여 & 선별급여란?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에서 의료비는 크게 **급여(건강보험 적용)**와 **비급여(건강보험 미적용)**로 나뉩니다.
이 중 선별급여비급여 항목 중 일부를 건강보험에서 일정 부분만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1. 비급여란?

**비급여(非給與)**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의료비를 의미합니다.
✅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음
✅ 병원마다 가격이 다를 수 있음

 

📌 비급여 항목 예시

  • 도수치료, 영양제(비타민 주사), 체외충격파
  • 미용 목적 치료 (쌍꺼풀 수술, 피부 레이저)
  • 일부 검사 (유전자 검사, PET-CT 등)

2. 선별급여란?

**선별급여(選別給與)**비급여 항목 중에서 일부만 건강보험을 적용하여 환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일부만 건강보험 적용 (환자가 본인 부담금 일부를 내야 함)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시행

 

📌 선별급여 적용 예시

항목환자 부담률
MRI (뇌, 척추 질환) 50~80%
로봇 수술 50%
신의료기술 검사 50~80%
난임 시술 (시험관아기 시술 등) 30~50%

💡 급여(보험 100% 적용)보다는 환자 부담이 크지만, 비급여보다는 저렴함.


3. 비급여와 선별급여의 차이점

구분 비급여 선별급여
건강보험 적용 ❌ 없음 ⭕ 일부 적용
환자 부담 100% 본인 부담 30~80% 본인 부담
예시 미용 성형, 영양제 주사 MRI, 로봇 수술, 난임 치료

4. 선별급여 적용 여부는 어떻게 결정될까?

정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에 따라, 기존 비급여 항목 중 일부를 선별급여로 변경하고 있습니다.

  • 의학적 필요성이 인정되지만, 비용 부담이 높은 경우
  • 효과는 있으나 아직 표준 치료법으로 완전히 자리 잡지 않은 경우

💡 점점 더 많은 비급여 항목이 선별급여로 전환되는 추세!


5. 결론

  • 비급여: 건강보험 미적용, 전액 본인 부담
  • 선별급여: 일부 건강보험 적용, 본인 부담률 30~80%
  • 비급여 항목 중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선별급여로 지정되어 환자 부담이 줄어듦

✔️ 선별급여 여부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병원에서 확인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