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

차상위계층 기준 및 혜택 / 신청방법 / 의료혜택 총정리

by 쫑이스토리 2025. 3. 17.

▣차상위계층이란?

차상위계층은 소득과 재산이 기초생활수급자 기준보다는 높지만,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계층을 의미해. 정부에서는 이들에게 다양한 복지 및 의료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1️⃣ 차상위계층 기준

차상위계층은 소득 인정액(소득 + 일정한 재산 기준)이 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인정돼.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소득 기준 (단위: 원/월)

가구원 수 중위소득 50% 기준
1인 가구 1,096,657원
2인 가구 1,827,336원
3인 가구 2,348,424원
4인 가구 2,853,859원
5인 가구 3,334,617원
6인 가구 3,798,386원

재산 기준:

  • 대도시 1억 5,200만 원, 중소도시 9,200만 원, 농어촌 8,000만 원 이하
  • 자동차 기준: 2,500만 원 이하 차량

2️⃣ 차상위계층 혜택 (복지 지원)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되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① 생계·주거 지원

 

긴급복지 지원 – 갑자기 실직하거나 위기 상황 발생 시 생계비 지원
에너지 바우처 – 여름·겨울 전기, 가스비 지원
주거급여 – 본인이 임차한 집이라면 임대료 일부 지원, 자가주택 보수 가능

 

② 교육 지원

교육급여 – 입학금, 수업료, 교재비, 학용품비 지원
국가장학금 – 대학생 등록금 일부 지원

 

③ 일자리·자활 지원

차상위 자활사업 참여 – 공공근로, 희망근로 등 지원
창업 지원 – 정부 창업 대출 및 컨설팅

 

④ 통신비 감면

이동통신 요금 감면 – 기본료 및 통화료 감면 (월 최대 26,000원 할인)
인터넷 요금 감면 – 월 최대 11,000원 할인


3️⃣ 차상위계층 의료혜택

차상위계층은 건강보험료를 감면받거나 본인 부담금을 줄여주는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① 차상위계층 유형에 따른 건강보험료 지원

차상위계층은 아래와 같이 유형에 따라 건강보험료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유형내용건강보험료 감면 여부
유형 내용 건강보험료 감면 여부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 병원비 경감 O (본인 부담 10~20%)
차상위 장애인 등록 장애인 O (병원비 경감)
차상위 자활대상자 자활근로 참여자 O (병원비 경감)
차상위 한부모가족 한부모가정 지원 대상 O (병원비 경감)
차상위 확인대상 소득 기준 충족 X

 ② 병원비 본인 부담 경감 혜택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 인하

  • 1종: 입원비 10%, 외래진료비 1,000~2,000원
  • 2종: 입원비 20%, 외래진료비 15%

임플란트·틀니 지원

  • 건강보험 적용되는 임플란트 50% 부담
  • 틀니 시술 비용 일부 지원

검진 및 예방 접종 지원

  • 국가 건강검진 무료
  • 독감 예방접종 무료

한방 치료 및 한방 병원비 지원

  • 한방 병원 및 치료비 일부 지원

4️⃣ 차상위계층 신청 방법

📌 신청 방법:
방문 신청: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방문 후 신청
온라인 신청: 복지로 신청 가능

 

📌 필요 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재산 증명서류
  • 임대차 계약서(해당 시)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5️⃣ 결론

✅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을 위한 지원제도야.
중위소득 50% 이하라면 차상위계층에 해당될 수 있음.
생계, 의료, 교육, 주거, 통신비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병원비 본인 부담 경감, 건강보험료 감면, 국가 건강검진 무료 등 의료 혜택이 크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아.
✅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반응형